궁중음악
(Royal Court Music in Korea)
궁중음악은 조선시대 궁중에서 쓰인 음악으로 제사음악(제례악), 잔치,예식음악(연례악), 행진음악(행악)이 있다. 제사음악은 종묘, 사직, 문묘 등의 제례를 위한 연주이고, 예식음악은 조회나 연회 때 연주한 곡이며, 행진음악은 왕의 행차 시 연주 되었다. 행진음악(군대음악)은 태평소(선율), 타악기, 관악기로 구성되어 있고 현재 전승되는 음악으로는 중요무형문화재인 ‘대취타’가 있다.
궁중음악은 독주나 중주보다 합주 위주의 편성으로 음악과 무용, 노래가 함께 공연되는 악가무 일체의 종합 예술 형태였으나 차차 기악화 되는 과정을 거친다.
궁중음악은 크게 아악, 당악, 향악으로 구분된다.
아악은 조선시대 궁중과 상류층에서 연주되던 음악으로 민속악에 대비되는 궁중음악의 총칭이다. 아악은 고려 예종 11(1116)에 중국 송나라의 휘종이 대성아악을 보내줌으로써 시작되었다. 대성아악은 그 이후 다른 크고 작은 제사에 사용되었다.
조선 세종 때는 많은 연구를 거쳐 아악을 독자적으로 복원하는데 대성아악을 복원한 게 아니라 그 이전 중국 주나라의 아악을 복원하여, 결과적으로 고려의 아악과 세종 이후의 아악은 그 바탕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세종 때는 아악이 매우 융성하게 되어 제사뿐 아니라 조회악과 회례악으로도 사용되었는데 이때가 아악의 전성시대라고 할 수 있다. 세조10년 이후에는 아악을 원래대로 제사에만 사용하고, 조회와 회례에서는 당악과 향악을 썼다. 또한 종묘의 제사에도 이때부터 아악 대신 향악을 쓰게 되었다.
당악은 중국 음악의 통칭으로 삼국시대 이래 중국에서 들어와 고려시대에 성행했는데 이때의 당악은 대부분 송나라의 음악이었다.
고려에서 전래된 당악 곡 중 지금까지 남아 있는 노래로는 ‘보허자’와 ‘낙양춘’ 두 곡만이 있는데 이 곡들도 거의 향악처럼 번하여 당악의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당악 악기 편성은 편종, 편경, 관악기. 당피리(선율)로 구성되어 있다
향악은 우리나라 전통 선율을 바탕으로 한 궁중음악이다.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향악계통의 음악으로는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된 ‘정대업’, ‘보태평’과 ‘여민락’과 그 파생곡들, ‘영산회상’, ‘수제천,’ ‘취타’등이 있다.
향악은 향악기(거문고, 가야금, 향피리)가 중심이 되어 연주되는 음악이다.
오늘날은 악기편성의 특징에 따라 ‘향피리 중심의 음악’, ‘거문고 중심의 음악’으로 구분된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후에는 아악이 위축되어 그 규모가 현저히 축소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종묘와 문묘의 제사만 남고 다른 제사는 폐지되어 음악도 종묘악과 문묘악만 남게 되었다. 종묘에는 향악이 쓰이므로 오늘날에는 아악이 문묘악으로만 남게 되었다.
글 네버엔딩
팝핑북
popingbook